- 공연소개
-
[작품소개]
뮤지컬<명동로망스>는 1956년으로의 타임슬립 상황에 대중들이 익히 알고 있는 실존인물들(화가 이중섭(1916-1956), 시인 박인환(1926-1956), 작가 전혜린(1934-1965))을 배치해 픽션과 논픽션의 균형을 잡는다.
작품 속에서 박인환과 전혜린은 통금시간이 오는 줄도 모르고 술을 마셔대다가 경찰서에 끌려와서 시를 읊으며 예술가의 삶이란 원래 그런 것이라며 넉살을 부리고 화가 이중섭은 일본에 있는 가족을 그리워하며 그림을 그린다.
또 극 전반에 배치된 신문기자와 경찰 등의 배역은 대사와 노래를 통해 최초의 국산 자동차 출시, 최초의 패션쇼 개최 등이 포함된 50년대 당시의 시대적 상황들을 이야기하며 시종일관 관객의 호기심과 흥미를 자극한다.
1950년대로 날아간 선호가 직면한 상황과 1950년대의 예술가들이 선호를 바라보게 되는 상반된 상황은 문화적 충돌과 더불어 긴장과 웃음, 설렘으로 가득 찬 모습으로 보여 진다.
[시놉시스]
1956년 명동의 로망스 다방,
그리고 그곳의 예술가
명동주민센터에 근무하는 9급 공무원 선호.
퇴근시간과 주말만 기다리며 무미건조하게 살던 선호는 어느 날 명동개발에
방해가 되는 오래된 다방 하나를 철거하려는 계획에 뜻하지 않게 끼어들게 되고,
알 수 없는 힘에 의해 당대의 여러 예술가들이 모여 있는 1956년 명동의
로망스 다방으로 가게 된다.
미래에서 왔다는 말에도 놀라기보다 흥미로워하는 명동 사람들은
현재로 돌아갈 길을 찾으며 로망스 다방에 머물게 된 선호를 찾아와
미래에 대해 묻고, 선호는 우연히 선보인 라떼아트 덕분에 화가로까지 인정받는다.
다방의 예술가들 중 가족들과 살기 위해 그림을 그만두겠다는 화가가 바로 이중섭임을
알게 된 선호는 위대한 화가로 남을 중섭의 미래를 얘기해 주지만 중선은 가족에 대한
책임과 그리움에도 그림을 놓지 못하고 꿈을 꾸는 자신의 모습에 괴로워한다.
중섭의 고통스런 고백과 지금 이 순간을 뜨겁게 살아야 한다는 문학소녀의 도발은
바라는 것 없이 잔잔하던 선호의 마음을 뒤흔든다.
경찰은 미래에서 왔다고 소문난 선호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 하지만
선호는 많은 사람들 앞에서 경찰이 지시한 말 대신 자신이 바라는 세상에 대한
선동적인 말을 해버리고, 선호와 로망스 다방의 예술가들은 경찰서로 끌려가
취조를 받게 되는데......